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MTR 경철

덤프버전 :

분류



파일:홍콩철도유한공사 심볼.svg홍콩철도유한공사
파일:MTR 경철 로고.svgMTR 경철
香港輕鐵
Light Rail (MTR)
||
파일:MTR-light-rail.jpg

A. Goninan(UGL)/CSR (4기형) 차량
노선 정보
분류경전철
기점윈롱 종점
틴수이와이 종점
튄문 페리항 종점
삼싱 종점
종점
역 수68
개업일1988년 9월 18일[1]
사용차량Comeng[2] (1기형) 차량
카와사키 (2기형) 차량
A. Goninan (3기형) 차량
A. Goninan(UGL)/CSR (4기형) 차량
차량기지MTR 경철 차량기지[3]
노선 제원
노선연장36.2㎞
궤간1,435㎜
선로구성전 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750V 가공전차선
최고속도80㎞/h
표정속도80㎞/h
지상구간전 구간 지상
통행방향좌측통행

1. 개요
2. 노선
2.1. 505번
2.2. 507번
2.3. 610번
2.4. 614번
2.5. 614P번
2.6. 615번
2.7. 615P번
2.8. 705번
2.9. 706번
2.10. 751번
2.11. 751P번
2.12. 761P번



1. 개요[편집]


홍콩 지하철(MTR)의 한 노선으로 홍콩 신계 지역의 튄문 지역을 커버하는 경전철 노선으로 MTR 전체 노선도에서의 노선색은 노란색이다. 홍콩철도 유한공사가 운영한다.

실제 노선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노선도상에서는 간략하게 표기하고 별도의 노선도가 따로 존재한다. 별도의 노선도는 경전철역 내부에서만 제공한다. 아래에 있는 노선도조차 축약해서 나온 노선도이다.

튄마선의 북서부 구간과 연계되어서 튄문 지역의 주거지역을 연결한다. 이 노선이 개통되기 전의 버스노선을 기반으로 경전철이 건설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버스노선처럼 운행계통이 복잡하고, 행선지 대신 시내버스처럼 노선번호가 따로 있다. 대부분 전용선로를 달리는 구간이지만 노면전차로 달리는 구간이 일부 존재한다. 일부 노면전차 성격이 있다는 점에서 홍콩 도심부를 달리는 2층짜리 홍콩 트램과 비교되기도 하는데, 그보다는 훨씬 최신식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둘 다 도로 한 가운데를 달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홍콩 트램이 속도가 느리다면 경철은 속도도 상당히 빠르고[4], 플랫폼도 고상홈을 쓴다.

홍콩 트램은 긴급 차량이나 불가피한 추월시 차량이 선로 위로 가끔씩 침범해 들어오거나 도로 사정의 영향을 받는 심한 경우 트램철을 볼 수도 있다 경우들이 있지만 경철은 도로와 선로가 상호 개방된 구간에서도 차량이 들어오지 않는다. 처음부터 도로구조와 법규를 그렇게 만들으며, 상호 개방구간도 병렬해서 다니는 구간은 일부분(대부분 울타리를 친다)이고, 교차구간은 아예 신호등으로 통제한다. 열차는 대부분 1량으로 다니지만 가끔씩 2량으로 연결해서 다닐때도 있다. 그리고 방향지시등도 있어서 선로 분기점에서 차량과 같이 지시등이 깜빡거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차량은 버스처럼 출입문이 왼쪽에만 있고(홍콩은 좌측통행이다) 운전대도 한 쪽에만 있다. 그래서 일반 철도차량처럼 제자리에서 돌아나오는 식의 회차를 할 수 없고, 종점 곳곳에 설치된 삼각선이나 루프선을 이용해 회차한다. 1세대 차량은 호주에서 제작되어서, 맬버른에서 운행하는 트램 차량과 비슷하게 생겼다.

요금은 정거장 플랫폼의 승차권 자동발매기에서 표를 끊어서 낸다. 옥토퍼스 카드의 경우 출발역에서 승차 단말기에 카드를 찍고 도착역에서 하차단말기에 카드를 찍으면 된다. MTR 노선과는 간접환승이 되지 않는다. [5]

MTR-KCR 합병 이전의 이름은 구광경철이었으며 구광철로공사에서 운영했으나, 양사 합병 이후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2. 노선[편집]


MTR 경철 노선번호 일람
505 507 610 614 614P 615 615P 705 706 751 761P

노선번호는 505, 507, 610, 614, 614P, 615, 615P, 705, 706, 751, 761P가 있다. 튄마선과는 윈롱역, 틴수이와이역, 시우홍역, 튄문역에서 환승된다.
506번 노선도 있었으나 경철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6]

노선이 매우 복잡하다. 아래의 노선도를 새 창에서 열기를 해서 보는 것을 추천한다. 실측지도에서는 좌상단의 갈색 노선에 붙어있는 가는 선들이 경철에 해당한다.
[7]

파일:LR_routemap.svg[8]

2.1. 505번[편집]


MTR 경철 505번 노선 정거장 목록
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영어 역명승강장환승노선비고, 주변 관광지
삼싱三聖Sam Shing3삼싱 에스테이트
한포드 정원
시우런兆麟Siu Lun2 507번
614번
614P번
온팅安定On Ting2 507번
614번
614P번
751번
타운센터市中心Town Centre4 507번
614번
614P번
751번
튄문屯門Tuen Mun2 507번
751번
튄마선
킨온建安Kin On2
산킹남山景 (南)Shan King South1
산킹북山景 (北)Shan King North1
밍컴鳴琴Ming Kum2 610번
615번
615P번
섹파이石排Shek Pai2 610번
615번
615P번
산와이新圍San Wai2 507번
615번
615P번
렁킹良景Leung King2 507번
615번
615P번
틴킹田景Tin King3 507번
615번
615P번
킨상建生Kin Sang2 615번
615P번
칭청青松Ching Chung2 615번
615P번
칭청쿤[9]
케이런麒麟Kei Lun2 615P번케이런와이[10]
시우홍兆康Siu Hong6 610번
614번
614P번
615번
615P번
751번
튄마선
시우홍역

2.2. 507번[편집]


MTR 경철 507번 노선 정거장 목록
한국어 역명중국어 역명영어 역명승강장환승노선비고, 주변 관광지
튄문페리피어屯門碼頭Tuen Mun Ferry Pier7 610번
614번
614P번
615번
615P번
튄문 페리피어
시우헤이兆禧Siu Hei2 614번
614P번
튄문수영장屯門泳池Tuen Mun Swimming Pool2 614번
614P번
굿뷰정원豐景園Goodview Garden2 614번
614P번
시우런兆麟Siu Lun2 505번
614번
614P번
온팅安定On Ting2 505번
614번
614P번
751번
타운센터市中心Town Centre4 505번
614번
614P번
751번
튄문屯門Tuen Mun2 505번
751번
튄마선
호틴河田Ho Tin2 751번
초이이브릿지蔡意橋Choy Yee Bridge2 751번
응안와이銀圍Ngan Wai2 610번
타이힝남大興 (南)Tai Hing South2 610번
타이힝북大興 (北)Tai Hing North3 610번
산와이新圍San Wai2 505번
615번
615P번
렁킹良景Leung King2 505번
615번
615P번
틴킹田景Tin King3 505번
615번
615P번

2.3. 610번[편집]



2.4. 614번[편집]



2.5. 614P번[편집]



2.6. 615번[편집]



2.7. 615P번[편집]



2.8. 705번[편집]



2.9. 706번[편집]



2.10. 751번[편집]



2.11. 751P번[편집]



2.12. 761P번[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20:03:57에 나무위키 MTR 경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튄문 - 윈롱 간 구간은 9월 14일에 먼저 개통되어 9월 18일까지 4일간 무료 시승식을 하였다.[2] 차량 제작사 commonwealth engineering의 약자.[3] 튄문구에 위치하며, 경철 차고지(輕鐵車廠, Light Rail Depot) 정류장이 바로 앞에 있다.[4] 최고속도 80km/h. 여러가지 환경상 최고속도는 낼 수 없지만 옆에 지나가는 차량과 비교하면 확실히 빠르다.[5] MTR에서는 침사추이-이스트침사추이역의 환승만 간접환승으로 처리된다.[6] MTR이 운영하는 버스 노선들은 알파벳 K로 시작하는 번호를 갖고 있으나, 이 노선은 경철 노선을 시내버스로 전환한 만큼 구 경철노선의 번호를 그대로 계승한 것이다.[7] 경철 전체 역명 이름[8] 노선도에는 튄마선(구.서철선) 표기가 되어 있으나, 별도의 운임체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환승은 되지 않는다. 한마디로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연결된다는 의미로 안내만 해둔 셈.[9] Ching Chung Koon. 도교 사원이다.[10] 麒麟圍, 번역하면 '케이런 마을' 정도가 된다. 영문으로는 Kei Lun Wai.